본문 바로가기

문화/인물

▶ 강대원


(샌프란시스코=) 김성용 특파원 = 세계 반도체 및 집적 회로(IC) 역사에 획기적인 발명을 이룩했던 `첨단 전자 산업의 대부' 고(故) 강대원 박사가 미국 컴퓨터 분야의 최고 전문가 조직인 `전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 회원으로 정식 입회하게 됐다.



1일 미국 `전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 협회 홈페이지 등에 따르면 협회측은 올해 컴퓨터 및 전자 부문의 집적 회로(IC) 발명 50주년을 맞아 고 강대원 박사를 비롯, 전자 업계의 혁명적인 발전에 공헌해 온 `명예의 전당' 회원 15명을 선정, 발표했다.

강 박사는 전류 증폭 및 스위치(개폐) 기능으로 모든 전자 제품의 핵심 부품 역할을 하는 집적 회로(IC)를 최초로 상용화시킨 `모스펫'(MOSFET)'을 발명, 특허를 받은 인사로 전자 산업의 역사를 새로 창조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금 널리 유행하고 있는 USB 메모리, MP3 플레이어에 적용되는 플래시메모리 등도 강 박사가 최초로 발명한 기술 제품에 속한다.

모스펫은 과거 진공관과 트랜지스터로 대표되는 초기 전자 회로 시대를 뛰어넘어 IC 시대로 발전하는 데 가장 기초적이고 획기적인 발명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지금 상용화돼 있는 모든 디지털 전자 회로의 토대가 됐다.

미국 명예의 전당 협회측은 강 박사의 공적에 대해 "최초의 트랜지스터 상용 제품을 발명했고 그의 발명은 오늘날 컴퓨터와 전자 사업 부문의 집적 회로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며 "그는 벨 연구소와 NEC 연구소 등에서 컴퓨터와 통신 부문의 기초 과학 연구에 매진했다"고 적었다.

1931년생인 강 박사는 1955년 서울대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길에 나서 1959년 오하이오 주립대에서 전자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9세 되던 해 `모스펫' 발명에 성공, 명성을 날렸다.

강 박사는 1950년대 당시 최초의 트랜지스터를 발명했던 미국 벨 연구소에서 일했고 1988년 일본 최대의 통신회사인 NEC가 미국 뉴저지에 세운 `NEC 리서치 연구소' 설립을 주도하며 초대 소장을 역임했으며 전자 업계의 거두로서 활동하다 1992년 5월 별세했다.

실리콘밸리 한인 전문가 조직인 `K-그룹' 김태진 고문은 "강 박사가 첨단 정보기술현대 전자산업에 끼친 영향은 세계 전문가들이 모두 인정할 만큼 가히 절대적이다"며 "전자 산업계의 `노벨상' 후보로 거론돼 온 강 박사가 뒤늦은 감은 있지만 `명예의 전당'에 오를 수 있게 돼 감회가 새롭다"고 말했다.

전자 산업 부문의 `오스카상'으로 불리는 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 입회 및 기념 행사는 2일(현지 시간) 오후 6시 미국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 지역에선 처음으로 `마운틴뷰'에 위치한 `컴퓨터 역사 박물관'에서 IT 업계 거물급 인사들과 가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릴 예정이다.

올해 명예의 전당 회원으로 선정된 인사는 강 박사를 비롯, 강 박사와 더불어 `모스펫' 발명에 공헌한 마틴 아탈라 박사, `무어의 법칙'으로 유명한 인텔의 공동 창업주 고든 무어, 반도체 칩 디자인 분야의 선구자 카버 미드 등 15명이며 이중 강 박사를 포함한 5명은 이미 고인이 됐다.



출처: 연합뉴스


강 박사는 개인용컴퓨터(PC) 휴대폰 아이팟 등 오늘날 디지털 세상을 주도하고 있는 첨단 장비들이 개발·양산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강 박사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발명은 2가지다. '전계효과 금속산화물 반도체(MOS-FET: 모스펫)'와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라는 반도체 기술이다.

모스펫은 집채만한 컴퓨터를 책상위의 작은 천재로 만들어 놓은 핵심 기술이다. 이 기술은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와 메모리 장치인 D램, S램, 그리고 휴대폰용 통신칩 등을 만드는데 기초가 됐다.

플로팅 게이트는 디지털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에서 저장 매체로 사용되는 낸드플래시의 기본 원리가 됐다.

1940년대 초반만해도 전자기기에 진공관을 사용했다. 진공관은 전력소비가 많을 뿐더러 깨지기 쉬워 사용이 불편했다. 1947년 진공관을 대체하는 트렌지스터가 개발됐다. 트랜지스터를 개발한 윌리엄 쇼클리, 존 바딘, 월터 브래튼 등 3명은 노벨상 물리학상을 받았다.

트랜지스터와 저항, 콘텐서를 하나의 칩에 구현한 집적회로(IC)가 발명됐다. 1959년 집적회로를 개발한 텍사스인스트먼트(TI) 소속 잭 킬비도 노벨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이들 노벨상 수상자들이 만든 신소자들도 한계가 있었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처럼 진공관보다는 전력이 덜 들지만 소비전력을 컨트롤하기가 힘들어 대용량화하기가 힘들었다. 대용량화의 문제는 소비전력과 직결된다.

1946년 세계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ENIAC)’은 당시 1만 8800개의 진공관과 7000개의 저항을 가진 집채 만한 크기로 무게는 약 30t에 소요전력 120kW의 '거대한 계산기 박스'였다. 이는 우리가 현재 휴대용으로 사용하는 전자계산기 수준의 연산능력을 가진 초기의 컴퓨터다.

강 박사의 모스펫 기술은 전력 소비를 급격히 줄였다. 모스펫 기술이 없었다면 현재 수준의 컴퓨터 한 대를 쓰는데 원자력 발전소 1GW짜리 1기씩이 필요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최신형 인텔 CPU의 경우 약 20억개의 트랜지스터가 칩 하나에 들어있다. 과거 진공관이었다면 20억개의 백열구를 켜놓아야 하는 셈이다.

적은 전력으로도 반도체가 구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트랜지스터나 IC를 고집적화하고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모스펫 기술의 핵심이다. 1960년 모스펫의 개발로 반도체 산업은 비약적으로 발전했고, 적은 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성능의 노트북이나 데스크톱 컴퓨터의 개발이 가능해졌다.

강 박사가 1967년 개발한 플로팅 게이트는 38년후인 지난 2005년 독일의 세계적인 필름업체 아그파가 창립 140주년만에 도산토록 하는 계기가 됐을 것이다. 플로팅 게이트 기술로 낸드플래시가 개발됐고 이를 탑재한 디지털카메라의 등장이 필름 수요를 줄였다.

삼성전자(592,000 상승세6,000 +1.0%)하이닉스(14,400 하락세200 -1.4%)반도체가 생산하고 있는 낸드플래시는 데이터를 한번 저장하면 전원을 끄더라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아 간편한 저장장치로 사용된다.

이는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반도체인 D램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인 커패시터(축전지)를 없애는 대신 스위치 기능을 하는 게이트(플로팅게이트)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이다.

시간이 지나면 데이터가 빠져나가는 커패시터 대신 게이트의 상하를 절연막으로 싸서 데이터가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 것이 플로팅게이트다. 이를 이용해 디지털카메라나 MP3플레이어 등에 탑재한 저장장치가 낸드플래시다.

낸드플래시를 탑재한 MP3플레이어의 출현은 소니의 워크맨 신화도 무너뜨렸다. 애플의 아이팟 나노 등도 낸드플래시가 없었으면 불가능했다. 강 박사 사후 16년여만에 한국은 세계 최고의 정보화 강국이 됐다.


출처: MONEY TODAY

'문화 >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강금원  (0) 2010.05.01
◆ 미래를 본 대통령  (0) 2009.05.27
◆ 노무현 01  (0) 2009.05.24
◆ 노무현  (0) 2009.05.23
▶ 김점동  (0) 2009.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