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병은 한자로는 '染病'이라고 쓴다. 전염병(傳染病)의 준말이라고도 하는 데 다름 아닌 장티푸스를 말함이다. 다른 이름으로 장질부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의료체계가 지금보다 열악하던 때는 염병이 돌면 새끼줄을 쳐 놓고 왕래를 차단하여 병이 더 번지지 않게 하는 것이 최선이었고, 치사율이 높아 매우 꺼리던 병이다. 죽을 뻔한 경우의 수가 10번도 더 되는데 그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앞서 몇 가지는 예를 들기도 했다.)
1975년 여름이었다.
5월 10일 금호1동에서 중랑구 중화동으로 이사 했다.
내 머리가 이상한 건지 외우지 않아도 이제까지 살던 집의 주소는 저절로 외워지고 지워지지가 않는다. 번지까지. 희한한 일은 또 하나 있다.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의 선생님들의 특징과 성함을 죄다 기억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마, 내가 죽은 다음 머리를 빠개서 뇌수를 조사해보면 보람있는 연구성과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어쨌건 고향이 없는 내가(3대 이상을 살아야 고향이라고 정의하는 것 같은데, 그게 맞는지는 모르겠다.) 2살 때 충청북도 청원군 강외면 오송리(KTX 오송역 근처)에서 올라와서 스무 살 무렵까지 살던 곳이니 고향보다 더한 곳이었다. 기울기가 보통 이상인 산동네에 살다 태(강)릉 가는 길목의 평지로 이사 오니 좋기는 했는데 지금 동부간선도로로 바뀐 뚝방 근처에는 판잣집이 나래비를 서 있는 곳이기도 했다. 물론 우리 집은 판잣집이 아니었다. 70평 정도 됐다. 우리 집은 지금 중화전철역 바로 앞이었다. 중화3동 328-17호. 지금은 감자탕 집을 하고 있더라.
처음 이사를 와선 4학년 때부터 첫사랑을 했던 순*이도 아직 거기 있었고 모든 게 낯선 곳보다 정들었던 금호동이 그리워 (이미 고소(古巢)가 되어버린 금호동이여!)란 제목으로 금호동을 의인화하여 두고 온 여친들도 잘 보살피라고 당부했던 글을 썼던 것 같다.
자수성가한 사람의 근본은 가난뱅이라고 하는데 나는 아직도 자수성가를 못한 꼴이 되었다.
바꿔 말해서 스무 살 시절에도 생활의 무게에 짓눌리곤 했었다는 말이다. 그래도 그때의 또래들은 그런 무게를 감당하는 것이 당연한 건 줄 알았던 모양이다. 상황타개와 공간확대에 골몰했을 뿐 현실에 대한 불만 따윈 없었던 것을 보면, (진짜 없었나? 인식을 못 했나? 구분이 안 되기도 한다.) 당시에 나는 한쪽 어깨엔 책이 가득한 가방을 한쪽 어깨엔 화장품이 가득 든 가방을 짜리한 체구에 걸머지고 나가 낮엔 공부하고 오후부턴 명동 삼각동 수하동 무교동 소공동 북창동 일대를 헤매며 화장품 외판을 하고 있었다. 어느 날, 아침에 만원 버스를 타러 집을 막 나서는데, 채 50m도 가지 않아서 뒤에서 "아저씨~~" 하고 부르는 소리가 있어 (내가 무슨 아저씨라고) 뒤를 돌아보니 40대 초반의 사내가 자전거를 타고 오며 나를 가리키는 것이다. 만 19세였지만 그때도 군대에서 불린 소도둑놈이란 닉에 어울리게 숱진 구레나룻로 나이가 꽤 들어 보였는가 싶다. 그랬던 것이다. 사내는 나를 일용직으로 나가는 잡부로 본 것이다. 순간, 번개처럼 스친 생각이 이랬다. '저 치가 날 잡부로 봤다면 하루쯤 인부 노릇을 하는 게 무에 대수냐!!' 난 대책 없이 사낼 따라 가서 생전 처음 노가다를 한 것이다. 단독주택 3층을 짓는 곳에서 시멘트를 이기고 벽돌을 3층까지 나르고 하며 한 달 먹을 물을 그날 다 마신 것 같다. 게다가 좋아했던 막걸리에, 그리고 며칠 지나지 않아 계속되는 설사와 한 여름에 담요를 쓰고 누웠어도 오한에 견딜 수가 없었다. 우여곡절 끝에 역촌동 시립병원에 격리 수용되고, 그날 내가 입원한 병실의 바로 그 침대에서 사람이 죽어 나갔다. 그런데 생과 사의 갈림길에서도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없었다.
그때, 썼던 일기가 거의 생각 나지 않지만 부분적인 기억은 이렇다. 한참 후에 퇴원해서 빨간 플라스틱 다라에 담은 소지품을 옆에 끼고 버스를 타고 집에 오는 길에 을지로 부근에서 도로 작업을 하던 새까맣게 탄 아낙들의 살 익은 모습을보며., 다시 본 파아란 하늘을 한 번 보고, 삶의 의미를 깨달으며 하늘을 보고 실없이 킥~킥~ 웃었던 기억이 생경하다. 크랙카를 입에 물고, 크랙카.,. 크랙카.., 하고 낙서를 했던 기억도 선명하다. "점심에 들어온 감자국이 나를 보고 웃고 있고. 파아란 하늘이 웃고 있고, 병실 창으로 보이는 포플라가 웃고 있다." 어쩌고 썼던 글 일부만 생각난다. 정신병원 마냥 사방이 철창으로 둘러쳐진 곳에서 난 오히려 간호원 양영순에게 빌려 읽던 현대문학/문학사상 등에 취하고 못다 읽은 책 읽는 재미에 취해 철창 너머로 면회 온 어머닐 비롯한 식구들의 안쓰러워하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염병의 의미를 몰랐던 때문이기도하고, 죽음이란 놈의 실체를 몰랐던 탓에 그냥 가면 가는 거지 하는 현실감각이 떨어진 팔삭둥이의 행태 때문이기도 했던 것 같다. 그러나, 어쩌랴, 죽음에 관한 한, 삶에 관한 한, 그런 행태는 아직도 여전하니..,
2006/08/31 | |
글: 매조지 그림:D/부자방/에이훠에이/Catalog 22/12 Medical